직접적인 결과는 신자의 각성을 통한 개인전도열기

 

부흥운동결과 나타난 전도열기

 

사도행전의 역사가 보여 주듯이 누구든지 성령의 능력을 받으면 증인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모든 부흥운동에서와 마찬가지로 부흥운동을 통해 성령의 놀라운 은혜를 체험한 한국 교회에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 특징 가운데 하나는 전도열이었다. 부흥운동이 한창 한국 전역에 확산되어 놀라운 신장을 기록하고 있던 1907년 가을, 한국 교회의 놀라운 부흥의 역사를 목도한 한 선교사는 선교지 분할협정과 협력 정신과 더불어 한국인에 의한 복음 전도가 한국에서의 놀라운 신장의 중요 원동력이라고 결론을 지었다.
이와 같은 한국인의 전도열은 선교사들로부터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은 자신들의 생명을 아끼지 않고 한 생명이라도 구원하려는 구령의 열정으로 가득 찼고, 또 그것을 한국인들에게 중요한 선교 정책으로 가르쳤으며, 그리고 그들은 실제로 그와 같은 구령의 열정을 처음부터 몸소 실천에 옮겼다.


이미 앞서 언급한 것처럼, 놀라운 외형적인 성장은 부흥운동의 직접적인 결과라기보다는 간접적인 결과였다. 부흥운동을 통해 영적 각성을 경험한 이들은 교회에 처음 찾아온 신자들이라기보다는 어느 정도 교회와 연관을 가지고 있던 기성 신자들이었다. 이들은 부흥운동을 통해 성령의 역사를 경험하고 영적으로 거듭나

면서 복음의 빚진 자의 사명을 깊이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부흥운동은 기성 신자들의 영적 변화와 영적 각성을 낳았고, 그들의 영적 각성은 다시 자전(自傳)과 자립(自立)으로 이어져 한국 교회가 처음부터 자전과 자립의 정신을 모토로 한 교회로 발전할 수 있는 중요한 전기를 마련해 주었다. 그런 면에서 부흥운동과 복음 전파, 그리고 한국인들의 자립 정신은 부흥운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선교사들과 구령에 대한 열정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은 처음부터 순회전도를 모든 선교사들의 가장 중요한 의무로 이해했고, 이것은 네비우스 선교 정책의 원리에도 명문화되었다. 한국에 파송된 언더우드 선교사는 경건주의운동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화란 개혁교회와 개혁교회 신학교 뉴 브룬스윅(New Brunswick) 출신이었고, 부흥운동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던 이길함(Graham Lee), 방위량(W. N. Blair), 소안론(W. L. Swallen), 곽안련(C. A. Clark), 마포삼열(S. A. Moffett) 모두 무디 부흥운동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시카고의 맥코믹 신학교 출신이었다. 때문에 그들은 신학적으로는 구학파(Old School)의 입장을 견지하였으면서도 부흥운동에 있어서는 구학파와 달리 긍정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 가운데 상당수가 이와 같은 분위기에서 신학교육을 받았거나 아니면 무디의 영향과 학생 자원운동(Student Volunteer Movement)의 영향을 받아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이었기 때문에 복음에 대한 열정이 대단했다. 이 때문에 이들은 직접 선교는 물론 의료, 교육, 문서 선교 등 모든 선교활동에서 복음 전파를 지향해야 한다고 확신했다:

로마인들은 “모든 길은 로마로”라고 말한다. 위대한 신학자는 “모든 성경은 그리스도를 가리킨다”고 말한다. 사려 깊은 선교사는 “모든 활동들이 복음 전파적이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그들은 그렇게 사역하는 자들이다. 의료 선교는 사람들에게 위대한 의사 예수 그리스도를 가르쳐 주는 복음 전파이다. 교육 선교도 과거 인간이 결코 가르치지 못한 것을 가르치는 우리의 참 교사 그를 드러내는 것이다. 번역도 곡식을 수확하는 사람이 값진 도르래로 수확하도록 그의 손에 성령의 검을 쥐어 주는 복음 전파이다. 모든 면에서 구속의 주를 선포하고 사람들에게 회개를 요청하는 그 사람이 뛰어난 복음 전도자이다.

클락이 지적한 것처럼, 1901년부터 1907년까지 “복음 전파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룩한” 것은 “복음 전도”의 노력 때문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복음 전도를 위해서는 동원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 기울였고, 그 결과 이 기간 동안 교회가 그야말로 놀랍게 성장할 수 있었다. 1907년에 이르러 교인이 7만 5,000명에 이를 정도로 한국 교회가 급속하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면에는 이와 같은 복음 전도의 열정과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복음 전도 방법은 전과 동일하였다. 거의 모든 선교사가 한층 더 넓고 끈질긴 순회 사역을 실시하였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이들조차 주말과 방학 기간에 심방하는 순회 교구를 가지고 있었다. 시장에서의 전도 설교, 사랑방 사역, 여인숙에서의 복음 전파, 다량의 전도책자 배포, 부흥회, 특히 사경회 등 여러 전도 방식이 있었다. 온갖 종류의 복음 전파운동이 넓고 멀리 두루 시행되었으며, 어떤 시골 마을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제 아무리 멀고 깊은 심산유곡이라 할지라도 누군가에 의해 즉각 응답되었다.

-박용규, 평양대부흥운동 개정판 중에서-

  • 기자명 평양대부흥
  • 입력 2007.12.28 10:30
  • 댓글 0
저작권자 © 평양대부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