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과 딸을 잃고도 한국선교를 계속한 셔우드 홀

부흥운동을 전후하여 배우자를 잃고 여전히 한국에 남아 선교를 계속한 사람은 게일만이 아니었다. 필자는 얼마 전 양화진의 외국인 묘지에서 선교사들의 묘지를 둘러 보다 어느 비문 앞에 문득 발길을 멈추고 말았다. 바로 그 무덤은 사랑하는 남편 윌리엄 홀(William James Hall) 박사와 사별한 뒤 여전히 평양에 남아 의료 선교를 계속해 온 감리교 여선교사 로제타 홀(Rosetta Sherwood Hall) 박사의 무덤이었다.


그녀의 남편 홀 선교사는 퀸즈 의과 대학을 거쳐 뉴욕 벨레뷰 병원 의과 대학을 졸업하고 1891년에 내한하여 1892년부터 불모지 평양에 거점을 마련하고 의료 선교에 자신의 생애를 헌신했던 평양의 개척 선교사였다. 1894년 7월 청일전쟁 발발 후 아내와 함께 부상자 치료에 헌신하다 전염병에 걸려 서울로 후송되어 치료를 받다가 1894년 11월 24일 세상을 떠난 홀 박사의 아내는 그 전형적인 사례이다. 결혼한 지 겨우 2년 5개월 만에 그녀의 나이 29세에 은둔의 나라 조선에서 평생을 함께하자던 사랑하는 남편이 갑자기 세상을 떠난 것이다. 신앙과 학력과 인격이 겸비된 의료 선교사 홀이 그 젊은 날의 비전도 채 이루지 못하고 주님의 부르심을 받은 것이다. 모든 부귀와 영화를 버리고 자신들의 젊음과 정열을 바치며 헌신하겠다고 복음의 불모지 조선에 왔는데, 갑자기 아내를 남겨두고 먼저 세상을 떠난 것이다. 갑자기 당한 슬픔 앞에 견딜 수 없어 1894년 12월 2살 난 아들을 데리고 귀국했던 그녀가 남편이 생명을 바치며 사랑했던 나라 조선에 다시 돌아온 것은 그로부터 3년 후인 1897년 11월이었다.


그 후 로제타는 평양을 거점으로 광혜여원을 설립하고 부녀자들과 아동을 위한 의료 사업에 착수하는 한편 맹인교육도 실시했다. 설상가상으로 사랑하는 딸도 평양에서 선교 사역 도중 잃고 말았다. 남편과 사랑하는 딸이 생명을 아끼지 않고 사랑한 나라 한국, 그것은 더 이상 이방이 아니라 그녀의 영원한 조국이었다.
그로부터 10여 년이 지난 1908년 5월 20일, 의사였던 그녀의 헌신적인 노력에 힘입어 남편과 함께 처음 시작한 동방의 예루살렘 평양에 여성병원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남편이 다하지 못하고 남겨 둔 몫까지 다하기 위해 자신의 생명까지 아끼지 않고 헌신했던 것이다. 복음이 닿는 곳마다 그녀의 헌신도 동시에 전해져 배우자를 잃고 실의에 빠져 있는 수많은 선교사들에게 새로운 도전과 용기를 가져다주었다. 때문에 그날의 병원 준공식은 더욱 특별한 의미가 있었다. 평양 남문 근처에 위치한 그 새 병원 준공 기념식에는 장로교 선교사들이 평양 선교지부의 모임 때문에 많이 참석하지 못했지만 감리교 선교사들은 거의 다 참석하여 그 자리를 빛내 주었다. 장로교, 감리교 선교회로부터 온 장로교인들과 감리교인들이 있었고, 1908년 초에 18개월 된 아이를 잃은 선천의 시릴 로스도 그 자리에 참석하였다.


1907년 여러 차례의 사경회를 인도하며 전주 지역의 복음화에 매진했던 해리슨 선교사 역시 1903년, 결혼 5년 만에 사랑하는 아내와 사별하고, 선교 현장에 남아 여전히 복음 전파에 매진했다. 과연 무엇이 이들을 선교지에 남도록 이토록 모질게 몰아쳤던가! 그것은 한마디로 말해 선교사들이 갖고 있던 한 영혼을 사랑하는 구령에 대한 열정 때문이었다.

- 박용규, 평양대부흥운동 중에서 -

  • 기자명 평양대부흥
  • 입력 2008.01.17 16:22
  • 댓글 0
저작권자 © 평양대부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