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통제로 위기를 만난 사립학교


이를 간파한 일제는 통감부를 통해 새로운 학교령을 공포하여 신민지 교육시책을 강요함은 물론이고, 관공립 보통학교에 일본인 교사를 배치시키고 사립학교 설립을 인가제로 전환시켜 사립학교를 일제의 관할 하에 두면서 학교 설립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일합방이 되자 과거에는 아무런 간섭도 하지 않던 미션스쿨에 대해 총독부가 규제를 가하기 시작했다.

1915년 총독부는 “帝國의 學政에 있어서는 일찍부터 國民敎育은 宗敎와 分離하는 주의를 堅持하기 때문에 官公立學校는 물론 특히 法令으로 학과 과정을 규정한 학교에 있어서는 宗敎敎育을 실시하고 그 의식을 행하는 것을 不許한다”는 내용의 교육규정을 발표했다. 제임스 피셔(James E. Fisher)가 지적한 대로 총독부와 선교회와의 마찰의 근본적인 원인은 미션스쿨에서 성경과 기독교와 관련된 것들을 가르치는 것이었다. 선교회의 관점에서 미션스쿨의 설립 목적은 교육 현장에서 기독교 이상을 구현하는 데 있었기 때문에 미션스쿨에서 성경과 기독교 근본 진리를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고, “반면 한국의 정치적 통치자로서 일본 총독부는 그 나라의 전 교육기관을 통제하여야 한다고 느꼈다.” 그래서 일제는 모든 학교들이 등록을 해야 하고, 그 후에 모든 비등록 학교는 문을 닫아야 한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정작 선교사들이 교사와 시설이 당국의 요구에 부합하기만 하면 언제든지 등록하겠다고 맞서자 다시 “총독부는 등록된 학교에서는 성경과 기독교를 가르칠 수 없다”고 했다. 그와 같은 이면에는 “한국에서의 기독교학교”를 단지 “한 실험적인 임시교육”으로 본 총독부가 미션스쿨에 대해 계속해서 그러한 제재를 가하면 “6년 내지 7년 사이에 한국에는 기독교학교가 하나도 남아 있지 않게 될 것”이라는 예견이 있었다. 선교사들은 “종교의 포교”에만 노력을 기울이고 “교육사업은 완전히 총독부 손”에 맡겨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궁극적인 의도였다. 그런 점에서 총독부의 학교등록 요구는 사실 선교사들이 운영하는 미션스쿨을 통제하기 위한 일종의 방편이었다.

사립학교들 가운데서도 일제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민족주의 산실로 부상하고 있는 서양 선교사들과 한국교회에 의해 운영되는 미션스쿨들이었다. 그것은 이들 학교가 서양 기독교 보급을 통해 한국인의 전통적인 관습이나 민족의식, 사회의식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오히려 국민계몽과 민족주의사상을 고취시켜 항일운동의 발원지가 되어 가고 있음을 깨달았기 때문이었다. 미션스쿨들과 “일제의 식민지적 탄압정책의 그늘에서 자라난 종교활동은 무력항쟁이 좌절된 후 민족적 항쟁의 온상이 되었다.”

-박용규, 한국기독교회사2권 중에서-

  • 기자명 평양대부흥
  • 입력 2008.01.17 16:44
  • 댓글 0
저작권자 © 평양대부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