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의 헌병경찰 통치와 수탈

 

일제의 헌병경찰 통치와 수탈

3․1운동 당시 마침 극동을 방문, 현장을 확인한 블랜드(J. O. P. Bland)가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China, Japan, and Korea)에서 지적한 것처럼 3․1운동은 일본의 무단정치에 대한 국민의 분노, 러시아 혁명으로 인한 민족국가의 출현, 윌슨 대통령의 민족자결주의 원칙의 선언에 자극 받아 일어난 한국 민족의 비폭력 독립운동이었다. 그리고 그 위대한 결집력은 “민족 종교와 같은 특징을 지닌, 민족의 자유, 독립의 원동력”이었던 기독교에서 나왔다.

실로 1910년 이후 국내의 정치, 경제, 사회 전반은 일본의 강력한 통치 하에 압박과 속박을 당하는 암흑의 시기였다. 먼저 일본은 정치적으로는 무단정치를 통해 한국을 자신들의 지배 하에 두었다. 1910년 11월 친일 이완용 내각을 앞세워 주권을 강탈한 이후, 일본은 육군대장 출신 통감 데라우치 마사타케를 통해 무단통치를 강행했다. 언론 집회를 감시하고 신문 발행을 금지시키고 항일운동에 앞장 섰던 서북학회를 강제로 해산시켰다. 일제는 무단통치를 강행하기 위해 전국에 삼엄한 헌병 경찰망을 구축했다. 헌병 경찰은 행정권과는 독립된 전국적인 조직을 갖춘 강력한 조직으로서 1910년에 1,120개소(헌병 2,019명, 경찰관 5,693명)였던 것이 1918년에는 1,825개소로 증가했다. 전국적인 망을 가진 헌병과 경찰에게는 한국인들의 항일운동을 감시할 뿐만 아니라 식민지 수탈을 엄호하는 일까지 주어져 그 권한이 실로 엄청났다. 이 때문에 이들은 민족운동 탄압, 토벌, 첩보 수집, 세관 감시, 징세 독려, 즉결 처분 등 탄압과 착취의 원흉이었고, 민중들에게는 정복자를 대변하는 자들이었다.


-박용규, 한국기독교회사 2권 중에서-

  • 기자명 평양대부흥
  • 입력 2008.02.16 22:41
  • 댓글 0
저작권자 © 평양대부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