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6년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발생하고 나서도 강대국의 한국에 대한 관심은 식을 줄 몰랐다. 오히려 한국에 대한 압력은 갈수록 거세어졌다. 1866년 1월부터 진행된 병인박해로 인해 너무도 많은 불란서인 신부가 희생당했다는 소식을 접한 불란서의 극동함대 사령관 로즈(Rose) 제독은 북경주재 프랑스 대리공사 베로네(Bellonet)를 통해 청나라에 조선 원정의 뜻을 전하고 대대적인 응징을 계획했으나 때마침 인도차이나에서 발생한 소요로 출정하지 못했다. 인도차이나 소요가 진정된 후 로즈 제독은 1866년 가을 세 척의 전함을 거느리고 청의 지푸를 떠나 충청도 연해를 거쳐 강화해협을 지나 양화진까지 왔다.


그러나 그 중 한 척이 강화해협에서 좌초당하는 바람에 형세만 살피고 다시 지푸로 회항하고 말았다. 로즈 제독은 1개월 후 7척의 군함을 이끌고 보복을 강행했으나 강화읍을 점령하고 무기와 고서를 약탈하고 20-30명의 사상자를 낸 후 퇴각했다. 병인양요(丙寅洋優)의 사건을 만난 대원군은 프랑스 함대의 침략과 격퇴 사실을 청과 일본에 알리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천주교에 대한 탄압과 박해를 가하면서 쇄국정책을 강화해 나갔다.


셔먼호 사건이 난 바로 그 해 8월, 유대계 독일 상인 오페르트(Earnest Oppert)가 탄 기선 엠페로(Emperor)가 한강을 거슬러와 비밀리에 라틴어로 편지를 보낸 한국 그리스도인들과 접촉하고 강화의 행정관과도 연락을 하는 등 활발하게 국내 정황을 탐색하고 있었다. 오페르트에 의한 분묘 도굴사건은 서양인 그리피스마저도 그의 저서 조선:은둔의 나라(Corea:The Hermit Nation)에서 “시체도굴사건”(a body-snatching expedition)이라고 비난할 만큼 부끄러운 사건이었다. 이 사건은 조선의 서양에 대한 반감을 더욱 가중시켜 대원군으로 하여금 쇄국정책의 결의를 다시 한 번 굳히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대원군은 “양이(洋夷)가 침범함에 싸우지 않는 것은 즉 화(和)하는 것이요, 화(和)를 주장하여 나라를 파는 일은 자손만대까지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의 글을 새긴 척화비(斥和碑)를 전국 각지에 세웠다.

  • 기자명 관리자
  • 입력 2006.06.26 14:52
  • 댓글 0
저작권자 © 평양대부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