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기독교사 게시판

제목

내한선교사 / 6 / George Anderson(1880-1969)

닉네임
danielpark
등록일
2020-06-29 17:05:18
조회수
636
첨부파일
 내한선교사_3-1_6_박지수.hwp (1204224 Byte)
Ⅰ. 기본사항

이름: Rev George Anderson. MA(한국명 : 안다손)

1. 생몰연도: 1880. 4. 3 - 1969. 9. 2
2. 출신 및 소속: 호주 / 장로교
3. 한국선교기간: 1922.9 – 1934 / 1952.1 - 1954
4. 연표
1983 호주 빅토리아주 멜버른에서 출생 & 성장
1916 - 1922 멜버른 오몬드신학대학 졸업
남 호주 포트 어거스타 교구 목회
1918 바이올렛 이사벨 코스텔로와 결혼
1922.9 - 1934 한국 선교
양산, 밀양, 김해, 언양, 울산, 동래 지역에 있는 교회들을 방문하며 목회
1932-1933 마산지역-함안, 창녕, 창원-의 교회에서 사역
1933-1934 진주지역 교회에서 사역
1934 호주 귀국
1937 건강악화로 한국 귀국 실패, 호주 빅토리아장로교회 총회 해외선교부 총무
1939 호주대표단 한국 방문 인도 (4개월)
1946 호주대표단 한국 방문 인도
1949.4.17. 두 번째 방문을 위해 한국 방문(부산)
1952.1 - 1954 한국 선교사로 다시 한국 입국(아내는 멜버른에 남음)
1954.7 호주 귀국
1954-1955 호주 빅토리아장로교회 총회장
1954.10 - 1958 호주장로교선교부(APBM)의 위원장
1976년 사망

5. 가족사항
아내 바이올렛 이사벨 앤더슨(Mrs Violet Isobel Anderson, 1885. 8. 25-?)
외 1남 1녀

6. 바이올렛 이사벨 앤더슨(Mrs Violet Isobel Anderson, 1885. 8. 25-?) 크리스찬 라이브에 수록된 정병준 교수의 호주선교사 열전(59) 바이올렛 이사벨 앤더슨 부인을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1) 본명 : 바이올렛 코스텔로
2) 연표 :
1885 스킵톤(Skipton)에서 출생 & 성장
1918.5.2. 조지 앤더슨과 결혼
1919.11.28. 딸 진 출생
1922.9 - 1934 부산 거주 및 선교 사역
유아 복지, 어린이 급식센터 설립, 나병환자 부모의 미감염 자녀들 돌봄사역(1931-1932)
부산(1922-32), 마산(1932-33), 진주(1933-34)에 선교사역을 감당
1924.9.30. 아들 로이 출생

Ⅱ. 선교사 소개
1. 출생 및 성장
조지 앤더슨은 멜번에서 자라났다. 그는 정신적인 면에서 고상했고 학업에서 탁월했다. 그는 또한 훌륭한 스포츠맨이었다. 그는 1906-8년까지 3년 동안 사우스 멜번 풋볼클럽에서 센터하프백을 맡았고 풋볼과 크리켓에서 유니버시티 블루(University Blues)상을 받았다. 그는 오몬드 칼리지를 졸업한 후에 목사 안수를 받고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포트 오거스타(Port Augusta) 교구에서 목회를 했다. 그는 1948년 바이올렛 이사벨 코스텔로와 결혼했다. 그는 1922년 한국선교사로 임명되었고 사우스오드트레일리아 장로교회의 후원을 받고 아내와 딸 진(Jean)과 함께 1922년 9월 16일에 한국에 도착했다.

1) 선교동기 정병준, 『호주장로회선교사들의 신학사상과 한국선교 1889-1942』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7), 189.

앤더슨은 멜버른대학에서 회계학을 공부 했고 1911년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회계사로서 그의 직업을 포기하고 1914-16년에 오몬드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그는 빅토리아 해외 선교위원회가 한국에 보낼 선교사를 찾고 있다는 호소를 듣고 자원했다. 그는 새로운 선교정책이 수립된 이후 한국에 파송된 최초의 선교사였다. 1922년 8월 1일 한국을 향해 출발했다.

2. 내한 및 한국에서의 선교사역
그 후 12년동안 조지 앤더슨은 안수 받은 선교사들에게 아주 전통적인 역할이 되어왔던 활동에 종사했다. 그는 선교회 안에서 자기의 위치를 빠르게 확보했는데, 그의 진실성과 철저함, 통찰력이 아주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주오 양산, 밀양, 김해, 언약, 울산, 동례 지역에 있는 교회들을 방문하면서 순회활동을 했다 그는 맥켄지가 휴가를 떠나 있는 동안 나환자요양소를 돌보는 책임을 맡았다. 1932-2년 한 해 동안 그는 마신지역-함안, 창녕, 창원의 교회들을 보살폈고, 1933-4년 한 해는 진주지역의 교회들을 보살폈다. 그는 또한 사경회들과 성경학원에서 가르쳤고, 심각한 건강악화로 1935년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1) 해외선교위원회 총무 정병준, 『호주장로회선교사들의 신학사상과 한국선교 1889-1942』 289-290.

1939년 빅토리아 장로교총회는 조지 앤더슨을 새로운 해외 선교위원회 총무로 임명했다. 앤더슨의 임기는 공식적으로 7월부터 시작했다. 총회는 그해 한국선교 50주년을 기념하면서 한국에 보낼 대표단을 임명하면서, 한국에서 강요되고 있는 신사 참배와 반대운동의 진상을 신중하게 조사하라는 임무를 부여 받았다. 그 대표단은 앤더슨 총무, 해외선교위원장 제임스 존스 목사 부부, 장로교여성청년회의 회장 필리스 마틴, 여선교연합회 해외선교총무 엘리자베스 켐블과 그녀의 여동생 애니 켐블로 총 5명이었다. 대표단은 8월 12일에 멜버른을 출발하여 10월에 한국에 도착했다. 대표단은 1940년 2월 14일 총회 본부에서 자신들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국을 방문한 대표단 전원은 신사참배를 반대한 선교협의회의 결정을 지지했다. 그들은 한국교회가 국가의 통제 아래 있는 교회가 되었다고 생각했지만, 한국에 있는 선교회가 11‘교육과 일상적인 교회 사역과는 다른 전도“의 영역에서 선교사역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 두 번째 방문
앤더슨은 1952년 1월에 다시 한국선교사로 임명되었고 3월에 도착했다. 앤더슨 부인은 멜번에 남았다. 그는 1952-4년까지 선교회의 중심역할을 했다. 그는 유일한 선배 남자 선교사였고 많은 교회지도자들을 알고 있었다. 그는 한국인 지도자는 물론 선교부와 호주 교회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었다. 이 시기에 그는 선교회를 감독했고 노회원이며 총회원이었다. 그는 한국장로교회가 분열되는 시기에 광범위하게 순회를 했고 많은 한국교회와 교회지도자들과 상담을 했고, 지역교회들 안에서 정기적으로 설교했다.

3) 선교협의회의 신사참배에 대한 입장
한국을 선교했을 당시는 일제강점기이다. 당연하게도 신사참배에 대한 기독교의 입장이 상이했다. 선교협의회의 초기 입장은 다음과 같다. 에디스 커, 조지 앤더슨, 양명득 역, 『호주장로교 한국선교역사 1889-1941』 (서울: 동연 2017), 152.
“신사참배에 대한 호주 선교회의 입장은 기독교 증언이 타협되지 않는 선에서 정부의 요구를 가능한 받아 주기를 원했다. 호주장로교선교회에서는 황제와 일본을 위하여 신사 앞에서 하나님께 묵상기도를 드리는 것으로 솔직한 타협을 추구하였고, 그 조건으로 신사 참배와 헌신의 의식은 참여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 후의 선교협의회의 신사참배에 대한 입장은 다음과 같다. 에디스 커, 조지 앤더슨, 양명득 역, 『호주장로교 한국선교역사 1889-1941』 (서울: 동연 2017), 96.
1936년 2월 선교협의회는 회의를 하고 이렇게 밝힌다. “호주 건교부는 황제폐하를 향한 존경과 충성을 느끼며...모든 국가적 행사에 참여하기를 원하고... 복종과 충성의 덕목을 진흥하기 위한 의미를 인식하며... 그러나 우리는 유일한 하나님만 예배하므로... 신사나 다른 영령들이여 참배하라는 요구는 종종 예배 의식을 포함하고 있고, 그것은 하나님의 명령에 위반되므로, 우리는 그러므로 우리 자신이 신사참배 할 수 없고, 혹은 참배를 하라고 우리 학교를 지도할 수 없다” 이런 결정을 내렸다.
선교협의회는 1939년 1월 또다시 모여서 정책을 결정한다. “1936년의 선교정책 발전에 의하여 우리는 이제 재 결의하시는 신사참배로부터 우리 자신을 분리할 것이다. 이것은 우리 신앙의 신념으로 기독교인으로서 증인 되라는 우리의 우선적 의무와 배치되는 것이고, 신사 앞에서 절을 하는 것은 하나님의 진리와 반대되는 것이다. 우리는 교육을 통하여 우리의 기독교 증거를 계속하기는 원하며, 일본과의 호의와 도움을 노력으로 학교를 계속하기는 원한다.”

3. 귀국 이후 크리스찬 라이브에 수록된 정병준 교수의 기고 글 “호주선교사 열전(58) 조지앤더슨 목사” 를 참고하여 작성 하였다.

조지 앤더슨은 1954년 7월에 최종적으로 한국을 떠났다. 그 해에 그는 1954-5년 임기의 빅토리아장로교회 총회장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호주장로교회 총회는 1954년 10월에 그를 호주장로교선교부(APBM)의 위원장으로 선출했고 1958년까지 그 임무를 수행했다. 그 해를 시작으로 앤더슨은 18개월 동안 선교부의 상임총무로서의 책임을 맡게 되었고 어려운 시기에 직면한 한국의 선교회에 지도력을 보강하기 위해 짐 스터키 목사를 다시 한국으로 보낼 수 있었다.

1) 『호주장로교회의 한국 선교, 1889-1941(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1889-1941 이하 APMK) 집필
호주장로교회의 선교위원회에서 1970년에 발간한 책자인 The Australia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1889-1941는 해방후 선교활동이 재개되면서 신임선교사들의 요구에 의해 작성된 것이다. 저자들은 애디스 커어(Miss Edith A. Kerr)2)와 조지 앤더슨 목사(Rev. George Anderson)3)이며, 이들은 식민지시기에 경상남도에서 활동을 했던 선교사들이다. 책의 서문에 의하면, “1945년 이후의 새로운 한국(“new Korea”)”에 부임하게 된 선교사들의 요청에 의해 1889년에서 1941년 사이의 활동 기록을 정리하게 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윤미, “식민지시기 호주 선교사의 교육활동 호주장로회 선교부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제 35권 1호 (2013. 3), 266


APMK는 총 23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책자로 한국 선교의 일반적 역사, 호주 선교사들의 주요활동(순회 전도, 성경학원, 학교교육, 실업교육, 구제활동, 유치원 및 유아교육, 의료활동), 각 선교지부의 활동(부산, 진주, 마산, 통영, 거창), 타선교부와의 연합활동, 선교사들의 행적(자녀, 묘지, 사진 등), 주요 사건 일지 등이 망라되어 있다. 저자들이 밝히고 있는 것처럼 선교부 활동의 초기 기록이 매우 취약하고 단편적으로 남아 있는 현실에서 1941년 이전에 활동한 선교사들이 그들의 선교부 활동을 전체적으로 정리한 것은 상당히 의미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호주선교부의 구체적 활동을 드러내주는 자료가 매우 제한되어 있는 현실에서8) 식민지시기에 활동한 당사자들의 기록은 부족한 자료들의 틈새를 연결하는 ‘증언’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 따라서 APMK에 대한 접근은 역사적 사실의 확인이라는 목적과 함께, 행위자의 기억(성찰적 재구성 포함)을 해석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PMK는 총 23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록까지 모두 188쪽(부록의 사진자료 제외)이다. 커어와 앤더슨 두 사람이 공동집필한 것으로 되어 있으나 3-7장은 앤더슨이 집필하고 나머지 부분은 커어가 정리한 것이다. ibid, 272

3. 1941년까지 교회활동의 정치적 배경
4. 한국 장로회의 기원과 발달
5. 선교단간 우호(the comity)의 기원과 발달
6. 순회전도(itineration) - 배경과 발달
7. 성경학원의 기원과 발달
작성일:2020-06-29 17:05:18 221.150.1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