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Elmer M. Cable, 1874-1949, 기이부[奇怡富])

 

Ⅰ. 기본사항

    이름: Cable, Elmer M.(기이부) 

 

  1. 생몰연도: 1874. – 1949. 12. 2.
  2. 출신 및 소속: 미국 / 감리회 
  3. 한국선교기간: 1899. 9 – 1940. 12. 

4. 연표

   1874. 미국 아이오와 주 블도라 출생

   1899. 6. 코넬대학교 졸업

         9. 미 감리회 서북 아이오와연회에서 집사목사 안수 후 미감리회 선교사로 내한

   1899-1901. 배재학당 대학부 교수 재직

   1902. 5. 평양 선교연회에서 무어 감독으로부터 장로목사 안수

   1905. <대한그리스도인회보> 주필

         6. 경기 서부 및 충청도지방 감리사

   1907. 6. 제물포지방 감리사

   1908. 3. 공주지방 감리사

   1909. 6. 충청도지방 감리사

   1910-1914. 협성신학교 역사신학 교수

   1915-1926. 연희전문학교 교수

   1917. 코넬대학 명예신학박사 

   1926. 6- 1931. 협성신학교 교장 

   1932. 4- 1940. 연희전문학교 교수

   1940. 12. 일제에 의해 강제추방

   1949. 12. 2. 미국 샌리안드로에서 소천    

 

5. 가족사항

   아내 Cable, E. M.

 

 

Ⅱ. 선교사 소개

 

  1. 성장 과정 및 한국 선교사로 내한하기까지

   Cable은 미국 아이오와 주 블도라에서 출생하였다. 지성적인 신앙인이었던 아버지의 영향가운데 성장한 그는 코넬대학교 진학하여 1899년 6월에 졸업한다. 한국선교사를 희망한 Cable은 같은 해 봄 미감리회 서북 아이오와연회에서 집사목사 안수를 받았으며 그해 9월 한국선교사로 내한하였다. 

 

  2. 감리사로 활발한 활동   

   내한 직후부터 1901년까지 배재학당 대학부 교수로 재직한 Cable은 이듬해 5월 평양에서 회집된 선교연회에서 무어(D.H. Moore) 감독으로부터 장로목사 안수를 받는다. 안수와 동시에 한국 서지방 감리사로 임명된 그는 제물포교회 담임목회자가 되었으며, 해주, 연안, 강화, 시흥, 부평, 남양구역 등을 총괄하였다.

   감리교 교역자 양성기구였던 신학회에서 강의를 병행하면서 그는 활발한 목회활동을 전개한다. 1905년 6월에는 경기 서부 및 충청도지방 감리사, 1907년 제물포지방 감리사, 1908년 공주지방 감리사, 1909년 6월 충청도지방 감리사를 각각 역임하였다. 

   선교 초기 당시 일본에 의해 국권을 상실해가는 한국의 현실을 목도하면서 Cable은 한국인들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갖고 그들에 대한 동조하는 입장을 취했다. 평소 교육을 통한 한국인들의 실력 및 인재양성을 강조했을 뿐 아니라 공주지방 감리사 재직 시 독립운동에 참여했다가 총살현장에서 극적으로 탈출한 한국인 생존자의 증언을 기록하여 선교부에 보고서를 제출하기도 하였다. 

 

  3. 협성(감리교)신학교의 기틀 마련     

   문서선교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 Cable은 1905년부터 〈대한그리스도인회보〉(The Korean Christian Advocate)의 주필을 역임했다. 한편 신학교교수로서 1910년 6월 협성신학교 역사신학교수로 4년 간 강의했으며 1910-1912년까지 학장업무를 수행한다. 이때 그는 초창기 협성신학교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큰 역할을 감당하였다. 

   이후 1926년 6월 협성신학교 교장으로 다시 취임한 그는 신학교 체제와 교과과정을 정비하고 입학자격을 고등보통학교 졸업생으로 격상시키는 등 학교 발전에 최선을 다한다. 비록 협성신학교를 자신이 교수로 사역하던 연희전문학교와 통합하여 종합대학으로 발전시키려는 계획은 실패했지만, 한국 최초로 고등교육기관에서 남녀 통합교육을 실현하였다. 1929년 4월부터 충정로에 있던 협성여자신학교와 합방 교육을 강행하여 3년 후 양교의 통합으로 감리교신학교로 재탄생하였다. 

 

  4. 학문적인 업적

   그는 <신학세계>를 통해 여러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몇 편을 들자면 다음과 같다. “메도듸스트교의 시작.” 「신학세계」 Vol.3 No.5 (1918), “메도듸스트교의 약사.” 「신학세계」 Vol.4 No.3 (1919), “요한 웨슬레전.” 「신학세계」 Vol.5 No.4 (1920) ~ Vol.6 No.5 (1921), “연대기적 기독교사.” 「신학세계」 Vol.11 No.1 (1926), “미감리교 조선선교의 초기.” 「신학세계」 Vol.19 No.4 (1934) 등. Cable은 웨슬리와 감리교신학을 한국에 소개하는데 큰 역할을 했으며, 그의 논문 “미감리교 조선선교의 초기”는 초기 한국교회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반역사 연구에도 조예가 깊었던 그는 1938년 〈왕립 아시아학회지〉에 한미 관계사 연구의 효시가 되기도 한 논문 “United States-Korean Relations 1866~1871”을 발표하기도 했다. 

 

  5. 연희전문학교 교수 사역 및 강제추방   

   연희전문학교 설립 초기부터 함께 한 Cable은 1915년부터 협성신학교 교장으로 부임하기 전까지 약 10년간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활동하였다. 그러다가 협성신학교 교장의 임기를 마치고 1932년 4월 다시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파송받아 약 8년간 선교사역을 감당한다. 

   이후 1940년 12월 일제에 의해 강제 추방되면서 41년간의 한국선교사역을 마감한 Cable은 미국으로 귀국하여 1949년 12월 2일 샌리안드로에서 75세로 소천하였다.

 

 

III. 사진 및 기타자료

1909년 해리스 감독과 함께 한 내한 감리교 선교사들(첫줄 가운데 기이부 선교사, 둘째 줄 좌측에서 두 번째 아내)
1909년 해리스 감독과 함께 한 내한 감리교 선교사들(첫줄 가운데 기이부 선교사, 둘째 줄 좌측에서 두 번째 아내)
오토바이 뒷자리에 앉은 기이부 선교사
오토바이 뒷자리에 앉은 기이부 선교사
오토바이를 타고 서울 거리를 지나는 노블 선교사와 기이부 선교사(운전자)
오토바이를 타고 서울 거리를 지나는 노블 선교사와 기이부 선교사(운전자)
기이부 선교사가 학장과 교수로 사역했던 협성신학교
기이부 선교사가 학장과 교수로 사역했던 협성신학교
기이부 선교사가 거주했던 협성신학교 사택
기이부 선교사가 거주했던 협성신학교 사택

 

출 처: 

미국 연합감리교회 디지털 갤러리

http://catalog.gcah.org/images/search?query=Cable&query_type=keyword&record_types%5B%5D=Item&record_types%5B%5D=File&record_types%5B%5D=Collection

 

기이부 선교사
기이부 선교사

 

출 처: 

감리교신학대학교 홈페이지 '역대총장'
https://www.mtu.ac.kr/mtu/c1/sub1_5_14.jsp

 

 

Ⅳ. 참고문헌

기독교대백과사전편찬위원회 편. 『기독교대백과사전 제14권』. 서울: 기독교문사, 1984.

김승태 박혜진 엮. 『내한 선교사 총람 1884~1984』.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4.

기독교대한감리회 한국감리교인물사전DB “케이블 선교사” 검색.

윤춘병. 『한국 감리교회 외국인 선교사』. 서울: 한국감리교회사학회, 2001.

https://kmc.or.kr/dic-search/dictionary?mod=document&uid=43360

 

 

[신문 및 기고글]

 

1) The Korea Mission Field

“A District Conference.” KMF Vol.2. No.2 (Dec, 1905): 29.

“A Convert from Buddhism.” KMF Vol.2. No.4. (Feb, 1906): 68.

“Conversion Through the Scriptures.” KMF Vol.2. No.5 (Mar, 1906): 97.

“The Long for Education.” KMF Vol.2. No.8 (Jun, 1906): 144-149.

“Kang Wha.” KMF Vol.2. No.9 (Jul, 1906): 166-167.

“Wesley Church, Chemulpo.” KMF Vol.2. No.10 (Aug, 1906): 188.

“Pak, the Priest.” KMF Vol.2. No.10 (Aug, 1906): 198.

“Persecution Turn Aside.” KMF Vol.2. No.11 (Sep, 1906): 213.

“The Conversation at the Well.” KMF Vol.8. No.4 (Apr, 1912): 118-119.

“persecuted for Christ’s Sake.” KMF Vol.8. No.6 (Jun, 1912): 175-176.

“The Korean Christian as a Speaker and Writer.” KMF Vol.14. No.7 (Jul, 1918): 139-142.

“General Conference of Eastern Asia.” KMF Vol.16. No.5 (May, 1920): 102-104.

“The Christian Young Men’s Preaching League.” KMF Vol.16. No.7 (Jul, 1920): 147-149.

“A Great Awakening Among Seminary Students.” KMF Vol.19. No.5 (May, 1923): 90-92.

“Methodist Annual Conference.” KMF Vol.20. No.12 (Dec, 1924): 256-258.

“Choi Pyeng Hun.” KMF Vol.21. No.4 (Apr, 1925): 88-89.

“Our All Korea Number.” KMF Vol.23. No.2 (Feb, 1927): 23-24.

“The Present Version.” KMF Vol.34. No.5 (May, 1938): 96-99.

“Internal Religious Program.” KMF Vol.34. No.8 (Aug, 1938): 177-179.

 

 

2) 신학세계

“메도듸스트교의 시작.” 「신학세계」 Vol.3 No.5 (1918): 167-169.

“메도듸스트교의 약사.” 「신학세계」 Vol.4 No.3 (1919): 80-82.

“요한 웨슬레전.” 「신학세계」 Vol.5 No.4 (1920) ~ Vol.6 No.5 (1921)

“연대기적 기독교사.” 「신학세계」 Vol.11 No.1 (1926): 44-47.

“미감리교 조선선교의 초기.” 「신학세계」 Vol.19 No.4 (1934): 46-53.

외 다수 

 

 

3) 저서

E. M. Cable. The United States-Korean Relations, 1866-1871. Literary Department of the Chosen Christian College, 1938.

 

** 한국기독교사연구소 오헌 실장 정리 **

 

  • 기자명 평양대부흥
  • 입력 2021.03.30 16:07
  • 수정 2022.02.15 14:31
  • 댓글 0
저작권자 © 평양대부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