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그리피스 Griffis, William Elliot

윌리엄 그리피스 Griffis, William Elliot

 

I. 기본사항1)

이름: Griffis, William Elliot / 윌리엄 그리피스
 
1. 생몰연도: 1843. 9. 17 – 1928. 2. 5
2. 출신 및 소속: 미국 / 동양학자, 교육자, 작가, 목회자
3. 한국선교(활동)기간: 없음(1927년 일본방문 중 잠시 내한)
 
4. 연표
1843. 09. 17.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John Limeburner Griffis와 Anna Maria (Hess) Griffis의 7자녀 중 넷째로 출생.
1863-1865. 미국 남북전쟁 참전.
1866-1869. Rutgers College 재학.
1869. Rutgers College 졸업 후 수개월 간 유럽여행. 뉴브룬스윅(New Brunswick) 신학교 수학.
1870. 9. 일본 후쿠이의 번주였던 Matsudaira Shungaku의 요청으로 방일, 동양학 연구.
1871. 에치젠(Echizen)의 교육감.
1872-1874. Kaisei Gakkō(도쿄대학의 전신)의 화학 및 물리학 교수.
1874. 귀국 후 약 2년간 일본에 관한 순회강연활동.
1876-1877. 유니온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교육.
1876. 「천황의 제국」(Mikado’s Empire) 저술.
1882. 「은자의 나라, 한국」(Corea, The Hermit Nation) 저술.
1883. 11. 27. 뉴욕에서 보빙사로 방미한 민영익 등과 만나 기독교 문제 토의.
1884. Union College에서 신학박사학위 수여.
1886-1893. 메사추세츠 보스턴의 Shawmut 회중교회의 목사로 사역.
1893-1903. 뉴욕 이타카의 제일회중교회의 목사로 사역.
1899. Rutgers College에서 명예박사학위 수여.
1900. 영국 왕립아시아학회한국지부(Korea Branch of Royal Asiatic Society) 학회원으로 추대.
1907. 일본 정부로부터 훈(勳)4등 욱일장 받음.
1912. 「아펜젤러」(A Modern Pioneer in Korea) 저술.
1926-27. 두 번째 일본여행. 일본 정부로부터 훈3등 욱일장 수여, 이때 조선 및 만주 방문.
1928. 02. 05. 미국 플로리다의 자택에서 소천.
 
5. 가족사항
부인: Griffis, Katherine Stanton(1859-1898) / Griffis, Sarah King(1868-1959)
자녀: Griffis, Lillian Eyre / Griffis, Stanton / Griffis, John
동생: Griffis, Margaret Clark
 
 

II. 선교사 소개

 

1. 성장배경

Griffis는 1843년 9월 17일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John Limeburner Griffis와 Anna Maria (Hess) Griffis의 7자녀 중 넷째로 출생하였다. 그는 어려서부터 온 가족이 출석했던 네덜란드 개혁교회(Second Dutch Reformed Church)의 영향 가운데서 성장하였다.2)
1863년부터 1865년까지 남북전쟁에 참전한 Griffis는 전쟁이 끝난 1866년 Rutgers College에 군인장학생으로 입학하여 자연과학을 공부한다. 여기서 그는 일본 후쿠이의 에치젠(Echizen)에서 유학 온 몇몇의 사무라이들과 만난다.3) 이것이 Griffis와 동양과의 첫 만남이었다.
1869년 대학을 졸업한 Griffis는 수개월 간 유럽을 여행한 후, 귀국하여 뉴브룬스윅(New Brunswick) 신학교에서 신학공부를 시작한다.4) 그러나 아버지의 사업실패로 인하여 그는 신학수업을 중단하고, 뉴욕 맨하탄의 노동자들이 주로 출석하는 뉴욕 맨하탄의 교회에서 사역을 감당한다.5)
 

2. 일본에서 교육자로 활동, 동양에 관심을 갖다.

그러던 중 당시 일본 에치젠(Echizen)의 번주 마츠다이라 슌가쿠(松平春岳)가 Rutgers Colleged의 총장에게 자신의 현에 세워진 고등교육기관에서 자연과학을 가르칠 교사를 요청한다. 이때 Griffis는 몇몇 언론사와 접촉하여 일본 통신원 자격으로 에치젠 번의 교육감으로 1870년 9월 일본에 첫 발을 내딛는다.6)
이듬해 가을 동경으로 이주한 그는 1874년 7월까지 동경대학의 전신인 다이가쿠 난코(大學南校)에서 화학, 생리학, 비교 문헌학(comparative philology), 도덕과학(moral science)” 등을 가르쳤다.7) 또한 Griffis는 영어를 배우는 일본인 학생들을 위한 입문서를 출판했으며, 신문과 잡지에 기고하여 일본에 관련된 수많은 글과 논문을 썼다.8)
이후 동생 Margaret Clark가 합류하여 도쿄 여학교(Tokyo Government Girls' School, 후에 피어스학교(Peeresses' School))의 교사가 되었다. 일본 문부성과의 재계약에 실패한 Griffis는 1874년 7월 18일 미국으로 귀국한다.9)
 

3. 귀국 이후

미국에 돌아간 그는 약 2년간 일본에 관한 순회강의를 진행했다. 이후 1876년에 유니온 신학교(Union Theological Seminary)에 입학하여, 이듬해 졸업한 Griffis는 회중교회의 목회자로 보스턴과 뉴욕에서 목회사역을 감당한다. 또한 자신의 4년간의 일본 체험을 바탕으로 일본과 한국을 비롯한 동양에 관련된 저술들을 남겼다. 대표작으로 1876년에 출간된 『천황의 제국(Mikado's Empire)』과 1882년에 출간된 『은자의 나라, 한국(Corea, The Hermit Nation)』을 들 수 있다. 이러한 Griffis의 저작들은 당시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국제사회에 적잖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10)
1884년 Union College에서 신학박사학위를 수여받고, 1899년 모교인 Rutgers College에서 명예박사학위를 수여받은 Griffis는 1903년 이후로 목회사역에서 사임하고, 글쓰기와 강의에 집중하였다. 여러 대학들을 순회하면서 일본과 일본 문화에 대해 강의했다. 이러한 공을 기려 일본 정부는 Griffis에게 1907년과 1926년에 각각 두 차례의 훈장을 수여한다.
 

4. 한국과 Griffis

Griffis는 1870년대 초 일본에서 교육활동을 하면서 일본에 대한 연구에 몰두한다. 그러던 중 일본을 바르게 이해하려면 고대로부터 일본 역사에 중대한 영향을 준 이웃 나라 한국에 대해 알아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그는 일본 내의 한국 관련 문헌연구와 내한 선교사 및 외교사절들을 통하여 한국에 대한 연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러한 Griffis의 노력은 1882년 『은자의 나라 한국(Corea, The Hermit Nation)』의 출간으로 결실을 맺는다. 마침 이때는 조선과 미국 간의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된 직후라 한국에 대한 관심이 미국 내에서 일시적으로 나타난 시기이기도 했다.11) 총 3부로 구성된 본서는 1부에서는 한국의 고대 및 중세사를, 2부에서는 한국의 정치 및 사회에 관하여, 마지막 3부에서는 한국의 근대ㆍ현대사로 구성되었다. 본서는 조선 말기의 개화기와 이후 일제강점기로 이어지는 한국의 역사를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당시 한국에 대한 통찰과 풍부한 역사적 증언을 담고 있어 오늘날까지 한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또한 본서는 당시 미국와 유럽을 중심으로 많은 작가와 학생들에게 활용되었으며, 내한 선교사들과 방문자들에게 한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입문서의 역할을 감당하였다.12)
한국 뿐 아니라 한국교회에도 큰 관심을 가졌던 그는 1883년 11월 27일 뉴욕에서 당시 조선의 보빙사로 방미한 민영익 등과 만나 기독교 문제를 토의했으며, 한국 최초의 선교사 아펜젤러의 전기인 『A Modern Pioneer in Korea; The Life Story of Henry G. Appenzeller』(1912)를 저술하기도 했다. 한국에 대한 그의 관심과 연구를 기려 1900년 영국 왕립아시아학회는 Griffis를 한국지부(Korea Branch of Royal Asiatic Society) 학회원으로 추대하였다.13)
또한 Griffis는 3.1운동이 발발 직후, 서재필이 조직한 ‘한국친우회(League of the Friends of Korea)’ 뉴욕지부 위원으로 일본의 식민통치를 비판하기도 했다.14) 그러나 이것은 한국의 독립이 아닌 일제의 식민통치방식의 변경을 촉구한 것에 불과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15) 실제로 Griffis는 그의 저술 등을 통하여 일본의 한국 통치를 긍정적으로 본 반면, 한국인들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나타낸다.16)
그의 처음이자 마지막 한국방문은 1927년에 이루어졌다. 일본 왕으로부터 3등 욱일장 수여로 1926년부터 1927년까지 두 번째로 일본을 방문한 Griffis는 약 6개월 간 도쿄에 체류하면서 당시 일본의 식민지 하에 있었던 조선과 만주를 잠시 둘러보았다.17)
 
 

III. 사진 및 기타자료

윌리엄 그리피스의 사진18)
 
1882년 저술한 「은자의 나라, 한국」(Corea, The Hermit Nation)
 
일본에서 활동 중 그의 학생들과 그리피스19)
 

【저서】

<일본제국(The Mikado's Empire)>(1876)
<Japanese Fairy World>(1880)
<Asiatic History; China, Corea, and Japan>(1881)
<은둔의 나라 한국(Corea, the Hermit Nation)>(1882)
<Corea, Without and Within>(1885)
<페리제독전(Matthew Calbraith Perry)>(1887)
<가시속의 백합(The Lily Among Thorns)>(1889)
<사무라이 본전(Honda the Samurai: A Story of Modern Japan)>(1890)
<Sir William Johnson and the Six Nations>(1891)
<일본의 역사ㆍ민속ㆍ예술(Japan, in History, Folks-lore, and Art)>(1892)
<Brave Little Holland and What she Taught us>(1894)
<일본의 종교(The Religions of Japan)>(1895)
<Townsend Harris, First American Envoy in Japan>(1895)
<Romance of Discovery>(1897)
<Charles Carlton Coffin: War Correspondent, Traveller, Author and Statesman>(1898)
<Romance of American Colonization>(1898)
<The Pilgrims in their Three Homes>(1898)
<The Student's Motley>(1898)
<The Romance of Conquest>(1899)
<The American in Holland>(1899)
<America in the East>(1899)
<Verbeck of Japan>(1900)
<The Pathfinders of the Revolution>(1900)
<In the Mikado's Service>(1901)
<A Maker of the New Orient>(1902)
<Young People's History of Holland>(1903)
<Sunny Memories of Three Pastorales>(1903)
<Dux Christus: An Outline Study of Japan>(1904)
<Japanese Nation in Evolution: Steps in the Progress of a Great People>(1907)
<The Fire-fly's Lovers and Other Fairy Tales of Old Japan>(1908)
<The Story of New Netherland>(1909)
<China's Study in Myth, Legend, Art, and Annuals>(1910)
<The Unmannerly Tiger and Other Korean Tales>(1911)
<A Modern Pioneer in Korea: The Life Story Of Henry G. Appenzeller>(1912) <Hepburn of Japan>(1913)
<The House We Live In Architect and Tenant>(1914)
<The Mikado Institution and Person>(1915)
<Millard Fillmore : Constructive Statesman, Defender of the Constitution>(1915)
<Bonnie Scotland and What We Owe Her>(1916)
<Dutch Fairy Tales>(1918)
<Belgian Fairy Tales>(1919)
<Young People's History of the Pilgrims>(1920)
<Swiss Fairy Tales>(1920) <Welsh Fairy Tales>(1921)
<Korean Fairy Tales>(1922) <Japanese Fairy Tales>(1922)
<The Story of the Walloons, at Home, in the Lands of Exile and in America>(1923)
<Proverbs of Japan: A Little Picture of the Japanese Philosophy of Life as Mirrored in Their Proverbs>(1924)
<The American Flag of Stripes and Stars: Mirror of the Nation's History, Symbol of Brotherhood and World Unity>(1926)
 
 

Ⅳ. 참고문헌

[단행본 및 논문]

- 김승태& 박혜진. 『내한 선교사 총람 1884~1984』 .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4.
-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일본연구」 15호 (2011): 439-462.

[웹사이트]

- "griffis, william elliot" Wikipedia 검색.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Elliot_Griffis>.
 

[미주]

1) Wikipedia “griffis, william elliot” 검색.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Elliot_Griffis>; 김승태․박혜진 편, 『내한 선교사 총람 1884~1984』 (서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1994), 273.
2)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일본연구」15호 (2011), 443.
3)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3.
4) Wikipedia “griffis, william elliot” 검색.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Elliot_Griffis>.
5) Robert A. Rosenstone, Miror in the Shrine: American Encounters with Meij Japan (Cambridge, MA & London, England: Harvard University Press, 1988), 50;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3 재인용.
6) Wikipedia “griffis, william elliot” 검색.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Elliot_Griffis>.
7)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5.
8) Wikipedia “griffis, william elliot” 검색.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Elliot_Griffis>.
9)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5.
10)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5.
11)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5.
12) Wiliam E. Grifis,『Corea: The Hermit Nation』제8판 서문;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0-441 재인용.
13) Wikipedia “griffis, william elliot” 검색.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Elliot_Griffis>.
14) “뉴욕 한인 친구회 셜립”, 「신한민보」, 1920년 6월 4일자. <http:/www.history.go.kr/url.jsp?ID=NIKH.DB-np_sh_1920_06_04_0140>; 안종철, “윌리엄 그리 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6 재인용.
15)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6.
16)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50-457 참조.
17) 안종철, “윌리엄 그리피스(Wiliam E. Grifis)의 일본과 한국인식(1876-1910)”, 446.
19) wikipedia “griffis, william elliot” 검색. <https://en.wikipedia.org/wiki/William_Elliot_Griffis>.
 
** 한국기독교사연구소 오헌 실장 정리 **
  • 기자명 한국기독교사연구소
  • 입력 2020.03.05 10:56
  • 수정 2022.04.01 14:31
  • 댓글 0
저작권자 © 평양대부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